티스토리 뷰
목차
2024년 12월 29일 오전 9시 3분경, 태국 방콕 수완나품 공항을 출발한 제주항공 2216편이 전라남도 무안군에 위치한 무안국제공항에 착륙하던 중 활주로를 이탈하여 공항 외벽에 충돌한 후 화재가 발생하는 사고가 있었습니다. 이 사고로 탑승자 181명 중 179명이 사망하고, 승무원 2명만이 중상을 입고 생존하였습니다.
무안국제공항 사고 경위
착륙 시도: 사고기는 오전 8시 57분경 무안국제공항의 01번 활주로에 착륙을 시도하던 중이었습니다.
조류 충돌 경고: 착륙 6분 전, 관제탑으로부터 주변에 조류 활동이 활발하다는 경고를 받았으며, 조종사들은 이를 확인하고 주의하겠다고 응답하였습니다.
비상 상황 발생: 오전 8시 58분 50초경, 사고기의 ADS-B 항적이 소실되었으며, 이 시점에서 기내 전력 상실 등 비상 상황이 발생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활주로 이탈: 착륙 중이던 항공기는 속도를 줄이지 못하고 활주로를 벗어나 공항 외벽에 충돌하였으며, 이로 인해 기체 대부분이 파손되고 화재가 발생하였습니다.
무안국제공항 사고 원인 조사
조류 충돌: 사고기 양쪽 엔진에서 가창오리의 깃털과 혈흔이 발견되어, 조류 충돌로 인한 엔진 고장이 사고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기체 결함 가능성: 일부 전문가들은 조류 충돌 외에도 기체 결함이나 다른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무안국제공항의 조류 충돌 위험성
높은 조류 충돌률: 무안국제공항은 국내 14개 지역 공항 중 가장 높은 조류 충돌률(0.09%)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주변에 영산호와 서남해안 갯벌 등 조류 서식지가 인접해 있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조류 퇴치 인력 부족: 사고 당일 조류 퇴치 인력이 최소 기준보다 부족했던 것으로 확인되어, 공항의 조류 관리 체계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무안국제공항 명칭 논란
이번 사고를 두고 '제주항공 2216편 사고'와 '무안공항 참사'라는 명칭 사용에 대한 논란이 있습니다.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관행상 항공사명을 포함한 '제주항공 2216편 사고'라는 명칭이 일반적이지만, 일부에서는 사고 책임 소재를 강조하기 위해 '무안공항 참사'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사고 원인이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은 상황에서 특정 명칭 사용이 부적절하다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무안국제공항 추가 정보
무안국제공항은 1993년 아시아나항공 733편 추락 사고를 계기로 호남 지역의 새로운 공항 필요성이 대두되어 건설된 공항입니다.
현재 관계 당국은 사고 원인에 대한 정밀 조사를 진행 중이며, 추가적인 정보는 공식 발표를 통해 확인될 예정입니다.
무안공항 사고 항공기 개요
무안국제공항에서 사고가 발생한 제주항공 2216편의 항공기는 보잉 737-800 기종입니다.
보잉 737-800 개요
제조사: 보잉(Boeing)
항공기 종류: 중형 협동체(Narrow-body) 여객기
최초 비행: 1997년
승객 좌석 수: 약 162~189석 (항공사 좌석 배치에 따라 다름)
최대 항속 거리: 약 5,665km
최대 이륙 중량 (MTOW): 약 79,000kg
최대 순항 속도: 약 839km/h (마하 0.79)
엔진 종류: CFM International CFM56-7B 시리즈
연료 탑재량: 약 26,025L
특징:
세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협동체 여객기 중 하나 연료 효율성이 높고, 신뢰성이 뛰어난 기체 737 시리즈 중 가장 인기 있는 모델로 안정성이 높은 기종
무안공항 사고 항공기 상세 정보 제주항공
제주항공 (Jeju Air) 항공편: 2216편
기체 등록번호: HL8321
제작 연도: 2010년
총 비행 시간: 약 62,000시간 이상
운항 사고 당시 상태: 운항 연한 14년 차 기체
최근 정기 점검 완료 (사고 3개월 전) 비행 중 특별한 기계적 결함 보고 없음
사고 원인과 항공기 상태
사고 원인은 아직 공식적으로 확정되지 않았으나, 조류 충돌(Bird Strike)로 인한 엔진 고장 가능성이 제기됨
사고기 CFM56-7B 엔진에서 가창오리의 혈흔과 깃털이 발견됨 → 조류 충돌로 엔진이 손상되었을 가능성 큼 조류 충돌 이후 전력 계통 문제 발생 가능성 블랙박스(FDR, CVR) 분석 진행 중
보잉 737-800은 세계에서 가장 많이 운항되는 협동체 여객기 중 하나로, 높은 신뢰성을 가진 기종 하지만 조류 충돌, 엔진 오작동, 조종 실수 등의 복합적인 사고 위험성 존재 최근 몇 년간 737-800 기종의 큰 사고 사례는 많지 않지만, 노후 기체에서 전기 계통 문제 등이 발생할 가능성 있음
현재 국토교통부와 항공 당국에서 정확한 사고 원인을 조사 중이며, 추가 발표를 통해 보다 명확한 원인이 밝혀질 예정입니다.